본문 바로가기
전선이야기

UTP 카테고리에 따른 분류

by Furydog 2021. 5. 21.

안녕하세요!! 박군입니다.

 

주말을 맞이하기 전날인데 어제와 같은 날씨는 아니지만 오늘도 간간히 흐리고 비가 꾸준히 오는 날이네요. 그렇지만 오늘도 힘내 보시구요!!!

 

다음 내용 들어가보실까요??
UTP 케이블 사용해본적 있으신 분들이나 조금이라도 유심히 보신 분들은 뭔가 좀 이상한 걸 느꼈을 거라 생각합니다.
다 똑같은 명칭도 아니고 규격도 아니고 좀 헷갈리죠?? 사실대로 말씀드리자면 내용을 빠삭하게 알고 계신 분들이 아니고는 잘 모르는 내용들이 많아요. 어떤 기준에서 나뉘는지 사용용도가 어떻게 되는지!

그래서 말입니다.. 이번에 한번 알아보고 넘어가자구요!!

1. 카테고리 (CAT1) - 아날로그 음성전송에 사용되는 용도고요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2. 카테고리 (CAT2) - 4Mbps 데이터 전송 가능하고요, 주로 토큰링 시스템 구성하는 데 사용을 합니다!!

토큰링 (Token ring ) - 각자 연결된 PC간의 데이터 전송

* 일단 토큰링이 맹점은 아니라 이런식으로 간략하게 알아보고 다음 타이밍에 조금 더 깊이 파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To be countinued...

 

3. 카테고리 (CAT3) - 10BASE-T 이더넷 네트워크에 사용하며 최대 10 Mbps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4. 카테고리 (CAT4) - 이 규격도 토큰링 시스템 구성에 사용을 합니다.단 전송용량이 차이가 나는데 16 Mbps까지 데이       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5. 카테고리 (CAT5) - FAST 이더넷 네트워크에 사용하며 최대 100Mbps 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6. 카테고리 (CAT5E)  - CAT5 제품과 동일한 스펙을 가지고 있으나 차이가 있다면 전송속도가 1 Gbps로 높습니다.

7. 카테고리 (CAT6) -  기가바이트 이더넷 네트워크에 사용하며  1Gbps 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 제품의 스펙에 따라서 전송속도뿐만 아니라 대역폭의 차이가 나게 되는데 CAT 5부터 뒤에 붙는 숫자가 오르면 오를수록 대역폭이 100 MHz > 250 MHz > 500 MHz > 600 MHz 순으로 올라가게 되어있습니다.

 

!! 여기서  전송속도란 ? 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평균속도를 의미하며 대역폭이란 초당 전송될 수 있는 최대량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얘기해서 폭포의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흘러가는 속도가 전송속도 이며, 폭포의 넓이가 대역폭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