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내열전선에 관련된 내용을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내열전선은???
내열성의 절연물로 피복한 절연전선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절연전선의 최고 사용 온도는 주위 온도에 전류에 의한 온도 상승을 가한 값이 절연물의 최고 사용 온도를 넘지 않는 것이 필요하고, 내열 고무, 석면이나, 유리솜을 감거나, 이 재료들에 규소 수지를 함침 시켜 내열성 있는 절연물로 하고, 주위 온도를 단열하기 위해 유리솜이나 석면으로 감싸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릴 내용은 정말 기본적인 구성으로 되어있는 두 가지 전선입니다.
사진상을 보시다시피 외형적으로는 눈에 띄는 차이가 안보입니다.
그래서 알아보기 쉽게 도표로 정리해서 차이점을 쉽게 알아볼수 있게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 내마모성 - 외부적인 마찰에 닳지않고 잘 견디는 성질을 뜻합니다.
* 내후성 - 수분 혹은 자외선에 노출이 되면 부식이 시작되므로 각종 기후에 잘 견디는 성질을 뜻합니다.
허용전류에 대한차이가 있는데 아무래도 내열성 온도가 높다 보니 허용전류가 기본적으로 높게 책정이 되어있습니다.
확실히 글보다는 사진으로 정리해서 올려드리는 게 알아보기 편하시죠??
오늘은 여기까지 내열전선 종류중의 하나인 실리콘 전선 / 테프론 전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필요로 하는 상황에 맞게끔 참고하셔서 경제적인 전선 구매가 되셨으면 합니다.
아직 장마전인데 날씨가 너무 엉망이네요! 오늘도 힘내시고요! 다음 시간에 금방 또 돌아오겠습니다.
'전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은 간단하게 TFR-GV에 대해서 심플하게 알아보고 갈게요! (0) | 2021.07.08 |
---|---|
오늘은 간단하게 TFR-CV 전선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1.07.06 |
내열전선? 난연전선? 내화전선? 저독성? (0) | 2021.05.29 |
전선 AWG 규격이 도대체 뭘까요?? 정리해 봅시다. (0) | 2021.05.29 |
UTP 카테고리에 따른 분류 (0) | 2021.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