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용어2 전선관련 용어정리!! 전선의 기본적으로 나선과 절열 전선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만들어진 여러 가지 모양의 전선이 존재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도체로 사용되는 재료는 구리가 가장 우수하나 가격이나 인장강도에 따라 알루미늄이나 강선 등도 사용이 되며, 극히 특수한 용도에는 은선이 사용될 경우도 있습니다. 단면적과 길이를 동일하게 했을 경우의 전기저항은 알루미늄이 구리의 1.6배, 중량은 약 0.3배 인장강도는 약 0.55배이며, 알루미늄은 가벼운 이점은 있으나 전기저항이 높고 접속법의 어려움 등으로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전선의 도체로 주로 사용되는 나선에는 단선과 연선이 있으며 단선은 최소 지름이 0.1mm 에서 최대 디름 12 mm까지 42 가지의 규격 치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단선은 단면적이 커지면서 구부리기.. 2021. 7. 24. 인류는 언제부터 전기를 알게 되었을까??? 안녕하세요 박군입니다.!!! 참 오랜만에 글을 올리는거 같은데 여러모로 바.... 쁘네요..ㅎㅎㅎ 생산적인 것도 없는데 바쁩니다. 요즘.. 정신 차리고 찾아주시는 여러분들을 위해서 다시 한번 잘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한 여름이라 전력량이 부족하다. 라는 기사를 많이 접하셨을 겁니다. 네 맞습니다. 항상 여름에 뜨거워지는 날씨 때문에 전력소모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죠 과연 인류는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을 해서 전기를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알아봅시다! 저도 궁금하네요. 아이러니하게도 전기는 나무의 진액이 굳어서 생긴 호박이라는 보석의 한 종류부터 시작이 되게 됩니다. 정확히는 발견을 하게 된다는 표현이 맞겠습니다. 과거에 그리스 사람들이 나무 진액이 돌처럼 단단히 굳어 만들어진 호박으로 장식.. 2021. 7.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