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의 기본적으로 나선과 절열 전선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만들어진 여러 가지 모양의 전선이 존재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도체로 사용되는 재료는 구리가 가장 우수하나 가격이나 인장강도에 따라 알루미늄이나 강선
등도 사용이 되며, 극히 특수한 용도에는 은선이 사용될 경우도 있습니다.
단면적과 길이를 동일하게 했을 경우의 전기저항은 알루미늄이 구리의 1.6배, 중량은 약 0.3배 인장강도는
약 0.55배이며, 알루미늄은 가벼운 이점은 있으나 전기저항이 높고 접속법의 어려움 등으로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전선의 도체로 주로 사용되는 나선에는 단선과 연선이 있으며 단선은 최소 지름이 0.1mm 에서 최대 디름 12 mm까지 42 가지의 규격 치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단선은 단면적이 커지면서 구부리기 힘든 결점이 있으며 송배전선의 나선도 단면이 큰 것에는 나연선이 사용됩니다. 유력한 송전선로용의 전선에는 인장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 강선을 심으로 한 강심 알루 뮤님 연선이나 구리 합금선 등이 사용됩니다. 또한 배전선 등에 사용되는 나선은 경동선이라 하며, 전기기기의 권선 등에 사용되는 연동선에 비해 약 50% 인장강도가 큽니다.
자! 이게 전선관련 용어를 또다시 한번 알아봅시다!!! 간단한 것들이니까
어렵지 않아요~ 걱정 말아요~
▶ 전선 -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선으로서 나선, 절연전선, 케이블 및 코드선 등의 총칭이다.
▶ 절연전선 - 구리, 알루미늄 또는 각각의 합금의 단선 또는 연선을 적당한 절연물로써 완전히 피복 절연된 것을 말한다.
▶ 케이블 - 한쌍의 절연전선 위에 또는 두 쌍 이상의 절연전선을 연합한 것 위에 적당한 금속이나 절연물로 완전히 피복 보호한 것이다.
▶ 코-드 - 전선 중에 일반적으로 유연성을 갖고 주로 옥내(가정용 제품의 리드선)에 쓰이는 전선을 말하며, 도체 경이 가는 선으로 300V이하의 사용전압에 쓰인다.
▶ 공칭 단면적 - 도체의 굵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체의 계산 단면적을 절상, 절하하여 수치를 사사오입한 것이다.
▶ 공칭전압 - 전 선로를 대표하는 선간 전압을 말한다.
▶ 재킷형 케이블 - 다심케이블의 선심 연합에 있어 선심을 마사, 견사, 기타적당한 재료와 함께 연합하여 원통으로 형성한 후 쉬즈 한 형태의 케이블을 말한다. (=개재형)
▶ 충실형 케이블 - 다심 케이블의 선심 연합 틈 사이를 채워 쉬즈한 형태의 케이블을 말한다.
▶ 선심 - 도체에 절연물을 피복한 것을 말한다.
▶ 단심 - 선심이 1가닥만으로 된 것을 말한다.
▶ 다심 - 선심이 2가닥 이상의 것을 말한다.
▶ 도체 - 전선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금속 부분의 것을 말하며, 가장 일반적인 재질은 구리와 알루미늄이다.
▶ AWG - American Wire Gage의 약자이며, 미국에서 사용하는 도체 치수 규격이다.
▶ 심선 - 전선의 도체를 말한다.
▶ 소선 - 도체를 형성하는 1가닥의 선을 말한다.
▶ 단선 - 도체가 1가닥의 소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 연선 - 소선을 2가닥 이상 꼬아서 형성된 도체를 말한다.
▶ 심연선 - 소선을 동심 원상으로 연선 하는 것을 말한다.
▶ 집합 연선 - 도체에 있어 가는 소선(세선)을 일괄하여 동일방향으로 연선 하는 것을 말한다.
▶ 복합 연선 - 집합 연선 또는 동심 연선 된 도체 2가닥 이상을 다시 연선 한 것을 말한다.
▶ 가요성 - 도체에 있어 유연성을 주는 연선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집 합연과 복합 연이 사용된다.
▶ 피치(Pitch) - 선심, 도체 등을 연합할 때의 꼬임 길이, 일반적으로 층 심연경 또는 외경의 배수로 표시된다.
▶ 층 심경 - 동심 연선이 되는 최외층의 소선 중심을 지나는 원의 직경을 말한다.
▶S(우), Z(좌) 연 - 연선 또는 선심의 방향에 대하여 S연(우연), Z연(좌연)이라 한다.
▶절연체 - 도체를 피복하여 사용전압에 견디고 각도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연 - 선심 2가닥을 서로 꼬아 연합하는 연선.
▶차폐층 - 전계 또는 자계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층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구리, 알루미늄의 도전성, 재료 또는 철의 자성재료가 쓰이며, 이것을 절연 선심 또는 선심 연합 위에 적용한다. 도전성 재료만의 경우를 정전 차폐층, 도전성 재료와 자성재료의 조합을 전자 차폐층이라 한다.
▶횡권 차폐 - 동선 등을 나선 형태로 감아 차폐시키는 것을 말한다.
▶편조 차폐 - 차폐 방법의 하나로 동이 나 알루미늄을 망사처럼 직조한 것을 말한다.
▶쉬즈(쉬스) - Plastics류를 사용한 절연선 심의 보호 피복을 말한다.(외피, 자케트)
▶외장 - 케이블을 기계적으로 보강할 목적으로 케이블의 적당한 장소에 적용하는 금속성의 피복으로 강대권, 금속선의 편조 등이 있다.
▶캡타이어 쉬즈(쉬스) - 캡타이어 케이블 및 캡타이어 코드 등에 쓰이는 강한 외피를 말한다.
앞으로는 전선 관련 자료들을 볼 때 큰 문제없이 보시겠죠??? 이 정도는 숙지하시는 게!!! 앞으로 일 보시는데 편해요~
다음에 금방 찾아뵙겠습니다.!!!!
'전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FR-CVV, CVVS, CVVSB의 차이점 (0) | 2021.08.20 |
---|---|
오늘은! IV,HIV,HFIX,HFIO의 차이점! (0) | 2021.08.20 |
인류는 언제부터 전기를 알게 되었을까??? (0) | 2021.07.24 |
오늘은 간단하게 TFR-GV에 대해서 심플하게 알아보고 갈게요! (0) | 2021.07.08 |
오늘은 간단하게 TFR-CV 전선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1.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