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군입니다. 머리도 복잡하고 바쁜 와중에 이렇게 또다시 한번 글을 올리게 됩니다.
누군가의 요청이 있기도 했었고 많이 헷갈려 하는 부분 중에 하나인 내용입니다.
몇 번 접해보고 간단하게 이해하시면 참 쉬운 내용이긴 합니다만..
자!! 한번 보시죠!!
제어용 케이블로 주로 사용이 되는 0.6/1kv TFR-CVV, CVVS, CVVSB
한글로 풀어서 설명하자면
트레이용 비닐절연 비닐쉬스 난연성 제어용 케이블 ( TFR-CVV )
트레이용 비닐절연 비닐쉬스 동 테이프 차폐 난연성 제어용 케이블 ( TFR-CVV-S )
트레이용 비닐절연 비닐쉬스 동선 편조 차폐 난연성 제어용 케이블 ( TFR-CVV-SB )
한글로 표현을 해놓으니 뭔가 좀 이해가 되실까요?? 그래도 아리송한 분들이 계시죠??
TFR-CVV 기준으로 풀어서 설명을 드리자면
도 체다가 1차로 PVC 비닐로 절연을 하고 게재물을 넣어서 형태를 만든 다음에 난연 PVC로 쉬스를 한 제품입니다.
이 제품에다가 차폐층이 동 테이프로 들어가게 되면 CVVS 차폐층이 동선 편조체로 들어가게되면 CVVSB로
표기를 하게 됩니다.
이제 어느 정도 감이 오시죠???

제어케이블 사진을 보니 느낌 확 오시죠? 이런 식의 차이가 있습니다.!!!!
차폐는 정전 차폐 방식이며 케이블 선심상에 동 테이프를 중첩하여 감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이외 알루미늄 마일라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단, 가요성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연동선 편조 차폐 케이블을 사용하게 됩니다.
알루미늄 마일라 테이프 차폐로 들어가게 되면 제품 표기가 다른 식으로 되게 되는데 아래 사진을 보시면!!

그러나 여기서 두 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공동 차폐를 하느냐?? 각심 차폐를 하느냐?? 에 따라서 품명이 바뀌게 됩니다.
어려운 것은 아니니 그냥 숙지하시면 됩니다.!! 구조도 보기 쉽게 나와있으니 이 정도로 참고하시면
제품 분류하고 사용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 듯싶습니다.
언제나 궁금하신 점은 댓글 남겨주시고요~ 수정할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배우고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자 오늘도 여기까지 하고요!!
모두들 항상 건강하시고! 코로나 유의하세요!!
언제나 행복합시다.
'전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축케이블 관련 용어 정리 (0) | 2021.12.22 |
---|---|
케이블 단선 or 연선 (0) | 2021.12.22 |
오늘은! IV,HIV,HFIX,HFIO의 차이점! (0) | 2021.08.20 |
전선관련 용어정리!! (0) | 2021.07.24 |
인류는 언제부터 전기를 알게 되었을까??? (0) | 2021.07.24 |
댓글